현관문을 열었다. 드르륵 소리와 함께 눈에 척 들어오는 열 두 장 메주. 그 새 마른 건 굴려 놓고 덜 마른 것은 모로 세워 두었다. 메주를 만들어 거실에 둔 것이 오늘로 벌써 아흐레. 밤중에 화장실 가려고 나올 때도 보면 정담이나 나누듯 소담스럽다. 둥글둥글, 복덩어리나 되는 것처럼. 한 이틀 더 말렸다가 차곡차곡 재워 띄운 뒤 된장을 담그면 일 년은 걱정 없다. 부자가 따로 없다.

올해는 어찌어찌하다가 메주를 쑤는 게 늦었다. 김장을 끝내고 11월 그믐께가 되자 손이 곱아들 정도로 춥다. 하루에 끝내자니 햇살이 퍼질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고 새벽부터 서두르는데 어찌나 추운지 성냥도 그어지지 않는다. 간신히 불을 붙인 뒤 한 솥 가득 물을 붓고는 장작을 집어넣었다. 워낙 추워서 콩을 씻기 전에 불부터 지펴야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잠시 후 얼었던 손끝이 펴지고 훈기가 돌면서 일하기가 수월했다.

콩을 씻어 헹구고 나니 먼동이 튼다. 다시 또 남은 콩을 씻어 작은 솥에 이듬으로 안쳤다. 금방 설설 끓기 시작하면서 날도 완전히 밝았다. 일차 끓기는 했지만 온종일 쑬 요량으로 아침밥을 준비한 뒤 다시 불을 지폈다. 몇 시간이고 뜸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연달아 장작을 넣으니 훨훨 타는 불길이 무척이나 훈훈한데 메주 물은 금방 걸쭉해져서 뜸이 들기도 전에 자칫 타버린다. 꺼지지 않을 만치 넣고는 틈틈이 청소와 빨래를 끝냈다. 그렇게 장작을 넣고 일변 물을 붓다 보니 노루꼬리보다 짧은 겨울 해는 금방 뉘엿뉘엿해졌다.

다 저녁때 솥을 열었다. 노릇노릇 잘 익은 콩이 푸짐하다. 뜸은 잘 들었어도 밟기는 아직 이르다. 뭉그러지도록 삶지 않으면 마른 뒤에도 금방 갈라진다. 눋지 않도록 불은 꺼 두었으나 남은 온기로도 뜸은 든다. 그 동안 쳇바퀴와 자루 등을 준비했다. 이어서 콩을 자루에 담아 밟은 뒤 쳇바퀴에 넣고 이듬으로 밟아 모서리까지 빤빤히 다듬는다. 그렇게 불그름 잘 익은 콩이 12장 메주로 연방 태어났던 것. 거실에 자리를 깔아놓은 뒤 신주 단지 모시듯 한 장 한 장 놓고 나면 한시름 놓게 되지만 밖에 나오면 할 일이 또 태산 같다.

우선 두 개의 가마솥을 떼어서 닦은 뒤 화덕의 재를 긁어내고 임시로 아궁이였던 자리도 멀쩡 치운다. 콩을 밟은 함지와 쳇바퀴까지 닦아서 정리한 뒤 마지막으로 헝겊에 기름을 묻혀 가마솥을 닦았다. 솥바닥은 물론 뚜껑 구석구석도 반들반들하게 문지른다. 뭐 그렇게까지 하랴 싶지만 기름을 먹이지 않고 두면 녹이 나서 뚫려버린다. 메주를 쑤고 밟는 일보다 훨씬 세밀한 작업이었던 것. 얼추 끝내고 저녁을 먹고 나면 대단원의 막을 내린 듯 홀가분했는데 이후로는 또 현관문을 열 때마다 눈앞이 환하고 부자가 된 듯했으니 각별한 기분이다.

엊그제 보리밥집에서 저녁을 먹었다. 처마 끝에 짚으로 엮은 꾸러미가 있고 수많은 메주가 들었다. 쳇바퀴에 넣어 만들지 않고 손으로 일일이 빚었다. 둥글둥글하니 달걀 꾸러미와 빼닮은 매주 꾸러미. 혹여 메주 알이 있다면 커다랗고 둥근 황금덩어리였을 것 같은데. 우연인지 둥글둥글한 메주 또한 열 개다. 얼금얼금한 양파자루에 말리는 것에 비하면 훨씬 번거로워도 그만치 고풍스럽다. 까마득히 어릴 적에도 짚으로 착착 엮기는 했지만 지금은 번거롭다는 이유로 그냥 말린다. 그리 하지 않아도 메주 쑤는 일은 연례행사라 할만치 큰일이었다.

나 어릴 적에도 메주 쑤는 날은 새벽부터 분주스러웠다. 어머니도 나처럼 새벽에 나오면 불부터 지피셨으니까. 초벌 때기가 끝나면 아침밥을 짓기 위해 부엌에 들어가시고 아버지가 대신 장작을 넣으면서 메줏물이 넘지 않게 지켜보곤 하셨다. 종일 삶은 뒤 메주를 만들기 시작하면 곁에서 콩 짜가리를 주워 먹곤 했는데 지금은 그럴 겨를도 없이 만드는 데만 급급해 있다. 그로부터 50년은 넘은 세월에, 어머니 역시 전수받은 걸 생각하면 100년은 충분한 시간이었고 그 정도로 오래 전부터 친숙했었다. 메주는 어쩐지 오랜 날 걸쳐서 완성되어야 제격인 것 같다고나 할지.

메주에서 된장으로 만들어질 때도 만만치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초겨울 메주를 쑤고 나면 여름에나 만들게 될 테니 무려 반년은 걸린다. 메주를 말려 달아 둔 뒤 얼마 후 보면 갈라진 틈새로 하얗게 피던 메주꽃. 드문드문 피었던 게 두드러기처럼 번지면 동안거에서 눈 뜬 메주는 부스스 기지개를 켜고 절기는 벌써 입춘이 가깝다.

그 다음 지금 내가 하는 것처럼 정월 장을 담그시던 어머니. 봄인데도 쌀랑한 어느 하루 특별히 말날(午日)을 잡아 소금물 가라앉혀 장을 담근 뒤 얼마 후 된장을 만들었다. 그게 곧 일 년 먹을 양식이 되는 것인데 그 간의 작업이 수월치 않다. 오래 전 그 때처럼 짚으로 엮지는 않아도 촘촘한 자루에 넣어서 단단히 매달아야 했다. 쩍쩍 갈라지기라도 하면 제대로 띄울 수 없다.

그 다음 켜켜로 재워 장을 담근 뒤 된장을 만들고 메줏물은 간장으로 떠 붓던 일련의 과정. 그렇게 담그다 보면 연년이 남게 되고 된장은 오랠수록 좋다고는 해도 메주가 잘 뜰 경우 봄에 담갔다가 가을에 먹는 것도 괜찮다. 그나마도 묵은 것 때문에 배틀한 맛을 즐기지는 못해도 오늘처럼 현관을 들어설 때의 풍성한 느낌 때문에 해마다 그렇게 열심히 쑤는지 모르겠다. 힘든 중에도 푹 물러 마침내 뚜껑을 열었을 때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던 정경은 생각만으로도 따스했다.

저녁연기를 따라가노라면 그 새 나와 깜박이던 초저녁별들. 하필 추운 겨울에 쑤는, 참 번거로운 일이었으되 훨훨 타는 잉걸불을 보면 추위도 일없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지금 나 또한 먹지 않아도 배부른 거라면 잘 쑨 메주를 보는 기분이었거늘. 사 먹는 된장과는 딴판으로 구수한 맛도 그렇고 갓 태어난 메주를 거실에 말려둘 때의 그, 통통한 아기가 목욕을 끝내고 방바닥에서 뒹구는 것 같은 정경도 탐스럽다. 메주를 쑤는 것은 하루뿐이고 말리는 것 또한 대엿새 남짓이라도 봄 마중물처럼 푼푼한 정경이었는데…

된장이 많을 때는 한 해쯤 건너뛰어도 좋으련만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동동거리시더니. 지금은 내가 더 몸을 달구고 마음을 졸인다. 그 때나 지금이나 아기자기 예쁜 구석은 약에 쓰려도 없건만 어린 나조차도 메주를 보면 든든해지지 않았던가. 그래 어머니는 한 해라도 건너뛰면 사단이나 날듯 노심초사였을까. 어지간히 말랐을 때 촘촘 엮은 지푸라기 틈으로 드러난 콩도 못내 따습더니 어언 사십년이 흘렀다. 까마득 어린 시절 메주를 쑤던 날의 풍경이 열 두 장 메주에 아련히 클로즈업된다. 훌쩍, 아주 오랜 세월 강을 건너뛰기나 한 것처럼.

 

이 정 희 / 수필가

저작권자 © 충북도정소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