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소 대나무는 씨앗을 뿌린 지 4년 만에 싹을 틔운다. 간신히 삐져나온 싹도 겨우 3cm 남짓이다. 4년 동안 기다린 걸 생각하면 요것이야 싶을 정도지만 5년째부터는 하루 30cm씩 자란다고 한다. 그리고 6주가 되면서 무려 15m로 자라 울창한 숲을 이룬다. 6주 만의 폭발적인 성장이었으나 4년 동안 땅속에 수백m²의 공간을 구축한 결과다. 모르기는 해도 싱그러운 바람과 따스한 볕이 간절했을 것이다. 얼른 싹을 틔워 잎을 새기고 싶었겠지만 우선은 뿌리를 넓혀야겠다는 일념으로 기다렸을까.

불현듯 스쳐가는 모소대나무의 하늘. 4년을 하루같이 꿈꿔 온 소망을 마침내 이루었다. 하늘을 이고 선 채 허공을 재고 그늘을 일궈 나갔다. 금방 싹이 나면서 보는 하늘도 푸르지만 곡절 끝에 바라볼 때는 의미 또한 다르다. 태풍이 지나간 하늘처럼 푸르렀겠지. 수많은 날 푸른 하늘과 따슨 볕을 그리며 뿌리를 늘려 왔기에 땅속에서의 암흑을 견뎠다.

그러자니 얼마나 힘들었을까. 명색은 뿌리를 넓히는 거지만, 바람 한 점 통하지 않는 땅 속에서의 4년은 결코 녹록하지 않다. 어둡고 깜깜하고 무엇보다 바람 한 점 통하지 않는 침묵이 두려웠을 것이다. 같은 뿌리라 해도 지상에서 싹이 트고 자란다면 흙 속에서도 보람은 있었다. 뿌리 때문에 잎이 자라고 그늘이 생기면서 꽃도 피었을 거라고 상상하면 보이지 않는 곳에서나마 견딜법했을 텐데 뿌리만 생짜로 넓히는 중이었다. 그래서 더더욱 힘들었겠지만 일단 싹만 틔우면 눈에 띄게 자랄 것을 믿고 참아 왔을 테니 눈물겨운 과정이 아닐 수 없다.

딱히 그 나무 아닌 보통의 대나무도 성장은 빨라서 싹을 틔운 후 4년 5년을 자라도 울창한 숲이 되기는 한다. 먼저 싹을 틔우고 4년을 자라든 오랜 날 땅 속에서 뿌리를 넓히고 짧은 기간 동안 자라든 마찬가지라 하겠으나 그 때문에 모소대나무의 하늘이 더 푸른 것은 아닌지. 4년을 하루같이 견딘 것은 오직 푸른 하늘을 향한 염원이었을 테니까. 다달이 해마다 뿌리심을 키우고 다진 끝에 꼬박 4년을 채운 어느 날 그제야 비로소 되었다고나 하듯 싹을 틔우던 모종의 나무. 하기야 그래서 6 주 만에 15m로 뻗어나가게 되었을 테지.

그 간 넓혀 온 뿌리만큼 하늘도 푸를 것은 알지만 일단은 어둡고 캄캄한 땅속이다. 당연히 꿈을 키우고 있었을 거다. 조바심치기보다는 뿌리를 넓히고 자양분을 저장해 둔 채 힘차게 뻗어갈 날만 기다려 왔으나 어디 만만한 일이었던가. 땅속이라지만 유달리 어둡고 깜깜한 날이 있었을 것이다. 아무리 모소대나무라 해도 그럴 때는 성장이 멈춘 게 아니라 뿌리를, 그것도 아주 깊고 단단한 뿌리를 내리는 중이었다면서 자신을 향해 최면을 걸고 더더욱 참았을 것이다.

우리도 소망의 씨앗을 뿌린다. 모소대나무처럼 4년이 되어도 싹이 트지 않을 때는 당연히 지루할 수 있다. 원하는 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또 역시 힘들겠지만 대나무조차 오랜 날 뿌리를 넓힌 뒤 싹을 틔울 줄 안다. 힘들 때는 모소대나무의 한 살이에서 희망을 차출해 와야 될 것이다. 기다리다 지쳐 포기하고 싶을 때도 말없이 뿌리를 내리던 나무. 그 다음 잎이 나고 줄기가 뻗는 것은 잠깐이기에 뿌리를 늘리며 자기만의 공간을 구축했다. 고통과 절망 속에서 일군 뿌리는 최고 넓은 영역을 자랑한다.

나무는 보통 뿌리의 면적과 밑동에서 우듬지까지 넓이가 비슷하다. 소나무처럼 곧은뿌리라 하여 땅속깊이 파고들기도 하나 그 때문에 높은 산 바위중턱에서도 능히 사는 걸 보면 그만치 성장의 근원이다. 혹 가물어서 물이 부족할 때는 멀리까지 뻗으면서 끌어온다. 나뭇잎이 푸르고 꽃이 아름답고 열매가 탐스러운 것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땅을 일구며 뻗어가는 뿌리 때문이다. 씨를 뿌린 뒤 금방 싹을 틔우는 나무도 그럴진대 하물며 4년 5년을 기다려 온 모소대나무의 뿌리다. 썩을 틔우자마자 하루30cm씩 자라면서 울창한 숲을 이루는 저력의 근간이다.

농부는 또 4년씩이나 기다렸다. 봄에 심어놓고 가을에 거두는 농부에게 기다림은 당연했으나 4년은 뿌린 사실조차 잊을 정도로 오랜 기간이었다. 나중에야 그 생태를 알았을지언정 맨 처음 상황은 그랬을 거라는 의미다. 아무리 기다려도 싹이 나오지 않아 다른 씨앗을 뿌리기도 했겠다. 그렇게 4년이 지난 어느 날 뾰조록 돋은 싹을 보았다. 바람에 날려 왔으려니 무심히 여기다가 오래 전 뿌린 씨앗을 생각했을까. 그나마 오래 묵었으니 죽기도 했을 거라고 심드렁 생각하던 중 언제부턴가 부쩍 부쩍 자라는 걸 보고는 무릎을 쳤을 것 같은데.

어쩌면 그 동안 뿌리가 일군 하늘을 상상한 것은 아닌지. 싹만 틔우면 그래 흙만 뚫고 나가면 그 때부터 잎을 늘리고 가지를 키우는 것은 금방일 테니까. 모소대나무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자라는 속도가 아닌 방향이었다고나 하듯.

게다가 그 방향이란 것도 푸른 하늘이 아닌 깊은 땅속이다. 우리 어쩌다 더디게 자라는 소나무와 주목을 보면서 그래야 재목감이 된다고 하는 것은 눈에라도 띄니까 하는 말일 수 있다. 그렇게 자라 드물게 단단한 재목이 되는 것은 알지만 땅속에서, 그것도 4년 5년이라면 수월한 게 아니다. 아무리 싹을 틔운 뒤 40일 만에 울창한 숲을 이룬다 해도 만만한 과정은 아니라는 뜻. 모소대나무의 숲을 생각하면 저마다 넓혀 온 뿌리의 저력이 그려진다. 싹만 틔우면 순식간에 뻗어나갈 저력도 꽁꽁 숨긴 채 기다려 온 것이다.

아무튼 그렇게 자란 나무는 폭풍에도 넘어지지 않는 건 물론 가물 때도 여간해서 시들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또 지진이 날 때도 대나무밭으로 피한다는 말을 들었다. 뿌리는 굵지 않아도 얼마나 단단하게 얽혀 있는지 다른 곳은 땅이 꺼져도 대나무밭은 끄떡없다니 묘하다. 뿌리가 튼튼하면 넘어지지 않는다는 뜻이었겠지. 뿌리는 약한데 잎만 무성하면 작은 바람에도 넘어진다는 의미였으나 일단은 싹을 틔우기 전부터 구축해 온 뿌리심 때문으로 본다. 그 나무의 4년이야말로 하늘 높이 뻗어나가기 위한 나름 준비 기간이었듯이 우리 철학도 기다릴 동안 형성된다. 땅 속에서 묵묵히 하늘을 꿈 꿔 온 한 그루 나무처럼. 그 하늘은 또 드물게 맑고 푸르렀던 것처럼.

그런 점에서 보면 모소대나무는 어기찬 데가 있다. 마음이 들썽할 때는 촘촘 푸른 잎을 그려보곤 했기에. 나름 열심히 사는 것 같은데도 뭔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땅 속 깊이, 더 깊이 뻗어가는 중이라고 생각을 바꾼다. 싹을 틔우기 전에 충분히 뿌리를 넓히고 자양분을 축적해 두는 한그루 나무. 지혜로운 사람 역시도 숙이고 성찰하면서 자란다. 노력해도 결과가 없을 때는 기다려야 하리. 모소대나무의 하늘은 땅속에서 오랜 날 참고 기다린 만큼 푸르다. 암흑 속에서라야 별이 빛나듯 꿈도 어려움을 극복할 때 빛난다. 꿈은 높은 데를 바라보는 거지만 묵묵히 참고 내려다볼 때 이루어지기도 한다.

나무가 일구어낸 꿈은 결국 하늘로 이어진 것이었을까. 비록 어둡고 축축한 곳이었어도 거기야말로 나무에게는 최고 아름다운 꿈의 영역이었다. 하늘 높이 치솟아 초록을 뽐내고 대쪽같은 기상을 드러내게 된 것도 오랜 날 참고 견딘 결과다. 싹이 트기를 기다려 준 농부도 농부지만 나무 스스로도 기다릴 줄 알았다. 모소대나무의 하늘은 즉 오랜 날 땅 속에서 참아낸 끝에 보면서 더욱 푸르렀다는 사실까지 담아서.

 

이 정 희 / 수필가

저작권자 © 충북도정소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